故事成語

나작굴서(羅雀참새작掘팔굴鼠쥐서)~~~

예암 노마드 2013. 6. 24. 18:23

                                                                                         ---노마드---

■ 나작굴서 羅雀掘鼠[그물 라/ 참새 작/팔 굴/ 쥐 서]

☞그물로 참새를 잡고 땅을 파서 쥐를 잡음. 최악의 상태에 이르러 어찌할 방법이 없음.  [출전]『新唐書』 [내용]당(唐)나라 현종(玄宗)의 통치 말기, 정치가 부패하자 변방의 안록산(安祿山)은 군대를 일으켜 당나라를 차지하려는 야심을 드러냈다.  서시 756년, 진원(眞源) 현령 장순(張巡)은 군대를 동원하여 안록산 토벌에 나섰다. 이듬해, 안록산의 아들 안경서(安慶緖)는 윤자기(尹子琦)를 보내 십만 대군으로 장순을 맹렬히 공격하였다. 당시 장순에게는 겨우 삼 천명의 병력 뿐으로 수적으로 열세였다. 윤자기의 군대는 어떤 때에는 하루에 20여 차례나 공격을 해 왔지만, 장순은 조금도 두려워하지 않고 맞서 싸웠다. 윤자기의 군대는 수적으로는 우세하였지만, 성(城)을 함락하지 못하며, 몇 달 동안 대치하게 되었다. 장순은 몇 달 동안 구원군을 기다렸지만 그들이 오지 않자, 성  안의 식량과 풀이 다 바닥날 상황이었다. 형세가 급박하게 변하자 장순은 부하 남제운(南霽雲)을 보내 포위망을 뚫고 임회(臨淮) 태수 하란진명(賀蘭進明)에게 위급한 소식을 알렸다. 그러나 임회태수는 장순의 명성을 시기하여, 그들의 위급함을 보고도 구원병을 보내지 않았다.  윤자기는 강공(强攻)으로는 성을 함락시킬 수 없다고 생각하고, 방법을 바꾸어 장순에게 투항을 권유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장순은 이에 굴하지 않고, 쉴새 없이 공격해 오는 적들을 모두 물리쳤다. 얼마 후, 성안의 식량이 점점 줄어들자, 군인들은 매일 한 수저의 쌀만을 먹었다. 이에 장순은 먹을 것을 확보하기 위하여 병사들에게 명령하여, 심지어는 그물을 쳐서 참새를 잡고 땅을 파서 쥐를 잡으며, 갑옷과 활에 붙어있는 소가죽을 삶아서 굶주림을 달래라고 하였다(至羅雀掘鼠, 煮鎧弩以食).그러나 구원병의 도움이나 식량 보충도 없는 상태에서 장순의 군대는 많은 적들을 이겨내지 못하고 결국 무너지고 말았다.[예문]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보람없는 행동으로 -------금의야행(錦衣夜行)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않고 허송세월하다가---비육지탄(비肉之嘆)일단 저지른 일을 되돌릴 수도 없고 ------------복수불반(覆水不返)최악의 상태에 처해 방법도 없으니 -------------나작굴서(羅雀掘鼠)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이 '일체불응(一切不應)' 뿐이다.

'故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계일학(群鷄一鶴)~~~  (0) 2013.06.24
落落長松(낙락장송)~~~  (0) 2013.06.24
호연지기(浩然之氣)~~~  (0) 2013.06.23
호사다마(好事多魔)--호시탐탐(虎視耽耽)~~~  (0) 2013.06.23
壺(병호)中天地~~~  (0) 2013.06.17